(모든 과목 3학점)
구분 | 임상미술치료 전공 |
전공필수 | – 미술치료학 개론 ( Introduction to Art Therapy ) – 임상실습 및 슈퍼비전 I ( Art Therapy Internship & Supervision I ) – 임상실습 슈퍼비전 II ( Art Therapy Internship & Supervision II ) – 상담심리학 ( Counseling Psychology ) –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( Art 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) |
전공선택 |
– 매체연구 및 실습 ( Art Therapy Material study and practice ) – 이상심리학 ( Abnormal Psychology ) – 정신의학 ( Psychiatry ) – 미디어아트테라피 ( Media Arttherapy ) – 가족미술치료 ( Family Art Therapy ) – 트라우마 미술치료 ( Art Therapy for Trauma) – 장애아동의 이해 ( Understanding of Disabled children ) – 미술재활 현장실습 ( Clinical Practicum in Art Therapy ) |
연구지도 | – 연구지도 I ( Thesis Research I ) – 연구지도 II ( Thesis Research II ) – 개인연구지도 ( Thesis Research ) |
(1) 전공필수
개설교과목 | 교과과정개요 |
미술치료 개론 | 미술치료 이론과 기법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탐색한다. 미술치료 역사, 그림검사, 미술치료 매체, 미술치료 윤리에 대해 다루고, 각종 미술치료 이론이 특정 대상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. |
미술치료 임상과 슈퍼비전 I | 미술치료 임상수련 과정으로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를 임상현장의 다양한 대상에게 수행하고 임상감독을 통해 미술치료 임상 전반을 평가받아 미술치료의 폭넓은 이해와 적용방법을 익힌다. |
미술치료 임상과 슈퍼비전 II | 미술치료 임상수련 과정으로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를 임상현장의 다양한 대상에게 수행하고 임상감독을 통해 미술치료 임상 전반을 평가받아 미술치료의 폭넓은 이해와 적용방법을 익힌다. |
상담이론 및 실제 |
미술치료에서도 기초가 되는 제반 상담 이론과 기법들을 고찰하고,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하고 숙지한다. 아울러, 이를 실제 치료 장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담 연습을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. |
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| 아동 및 청소년의 심리문제와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접근을 위하여 아동 및 청소년 미술치료 이론, 적용방향과 가능성, 임상을 위한 실습, 사례연구, 임상계획 및 평가 등을 다룬다. |
(2) 전공선택
개설교과목 | 교과과정개요 |
고급상담이론과 미술치료 | 대상관계 이론과 실존주의 심리치료, 정서중심치료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다. 이러한 상담이론을 미술치료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탐구한다. |
미술매체 및 표현기법 | 조형활동에 필요한 각종 매체(회화, 조소 등)를 직접 체험한다. 매체 체험에서 느끼는 감정과 치료의 적용에 대해 토의한다. |
미술치료 진단 및 평가 | 미술치료 진단에 활용되는 그림평가도구들을 이해하고 그림분석 및 평가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을 돕는다. |
발달심리학 | 전 생애적 관점에서 인간 발달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,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검증된 인지, 정서, 사회성 및 행동 영역에서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과 관계를 살펴본다. 또한 발달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예방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|
색채심리와 상징 | 미술치료에서 상징의 치료적 관련성에 근거하여 색채 심리와 상징, 공간상징, 형태상징의 이론을 습득하며 실습을 통하여 미술치료 진단, 과정, 평가에 상징의 의미를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다룬다. |
성인 및 노인 미술치료 | 성인기 및 노인기에 경험하는 문제들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미술치료를 통해 어떻게 체계적으로 다룰지에 대해 학습한다. |
심리검사 및 진단 | 심리검사의 유형과 특징, 이론적 구성, 실시방법을 학습하고 해석과 활용에 대한 실제 수행능력을 익힌다. |
연구방법론 | 양적연구방법론과 질적연구방법론을 익혀 논문을 쓰는데 있어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. 각종 연구설계법과 통계처리 방식에 대해 학습하고 논리적인 글쓰기 방법을 배운다. |
창의적 자기경험 미술치료 | 자기경험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심리적 역동, 문제와 가능성 및 자기이해, 집단역동과 관계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술치료사로서의 통찰력과 창의적이며 전문적인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|
의학입문 | 인체의 구조와 특징을 학습하고 이에 따른 질병 발생원인을 이해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. |
이상심리학 | 인간의 심리장애에 대한 올바른 개념 인식과 각 장애의 특성 및 분류체계, 접근 방법을 숙지하여 심리장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이해를 고양한다. 또한, 사람들의 이상행동에 대한 편견없는 시선을 갖추고 개선 노력의 동기를 증진한다. 아울러 개념의 올바른 파악, 발표 및 탐구 능력 함양을 통해 적극적인 연구 태도의 기반을 다진다. |
정신의학과 미술치료 | 정신의학과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미술치료의 이해를 돕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자질을 향상한다. |
집단 미술치료 | 집단미술치료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다양한 집단의 문제와 역동 과정을 습득하고 임상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과 연구방향을 다룬다. |
특수아동 미술치료 | 특수아동의 심리특성을 이해하고 진단을 포함한 이론적 탐색과 실제적인 치료접근 방법을 토의한다. |
(3) 연구지도
개설교과목 | 교과과정개요 |
연구지도 | 연구주제선정을 지원하고, 연구수행과정과 논문작성과정을 지도한다. |